반응형 SMALL 번역가의책읽기1 번역가 되는 법-책읽기 번역에 창조성이 있다면 기본적으로 읽기에 있는 것이며, 번역은 일차적으로 쓰기보다는 읽기의 문제다. 《완전한 번역에서 완전한 언어로》, 정영목 우리는 글을 읽을 때 자신의 맥락 내에서 이를 해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맥락은 해당 글에 대한 배경 지식, 문체의 친숙함 따위가 쌓이고 쌓여 형성된 이해력이겠죠. 이 맥락의 다름으로 인해 사람마다 각기 다른 독해를 하게 됩니다. 번역 역시 동일한 원문을 갖고도 각기 다른 해석이 나올 수밖에 없는데, 정영목 교수님은 이를 두고 "인간의 언어는 성기기 때문에 번역의 반은 상상이다."라고 했습니다. 생각을 담아내는 언어의 상대적인 빈약성 때문에 글쓴이 자신조차 자신의 생각을 100퍼센트 담아냈다고 확신할 수 없는 글에 번역가는 자신만의 해석을 입힌 뒤 또다시 언어.. 2021. 9. 29.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