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프리랜서번역가의벌이3 출판번역가의 수입 은유의 《출판하는 마음》을 읽다가 번역가 홍한별의 번역료 부분에서 눈이 멈췄다. 초기에 매당 2,500원을 받았고 5년마다 500원이 올랐으며 4,000원이 된 이후로는 더 올리기가 쉽지 않다고 했다. 게다가 새로운 번역가들의 진입으로 그것마저도 낮추려는 출판사들이 많다고. 나는 처음에 장당 13,000원으로 시작했으니 매당으로 치면 1,500원 수준일 것이다. 진짜 슬픈 단가다. 물론 실력도 많이 부족했으나 아무래도 너무 낮았던 거 아닌가 생각한다. 2년 전쯤 카페 홍보글을 보고 번역가에 지원한 적이 있다. 장르소설이라 쉽지는 않았지만 성심성의껏 샘플 번역을 해서 보냈고 요청에 따라 두 번 정도 수정을 해서 보냈다. 내가 원하는 분야는 아니지만 이런 번역도 하려면 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했다. .. 2021. 10. 13. 프리랜서 번역가에게 돈과 시간이란? 돈과 시간에 대해 자주 생각한다. 정확히 말하면 둘의 상관관계를 곧잘 생각하는 것인데 돈과 시간 둘 다 많은 삶을 갈망하지만 현실은 돈도 시간도 늘 부족하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체로 젊은 날에는 돈보다는 시간이 많고 어느 지점을 지나면 시간보다 돈이 많아지는 시기가 되다가 다시 시간이 많아지는 순간이 찾아오곤 한다. 나에게 시간과 돈은 늘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존재로 남아 있다. 내가 생각하는 돈은 ‘내가 버는 돈’이다. 신랑과 나, 우리의 돈이 아니라 나라는 인간이 독립적으로 기능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온전히 내 손으로 버는 돈. 내가 살고 있는 이 동네의 엄마들은 대부분 내 돈을 번다. 남을 위해 일을 하고 그렇게 번 돈으로 내 아이를 돌봐줄 사람을 고용한 다. 물론 안 그런 소수의 인간들도 있는.. 2021. 10. 6. 프리랜서 번역가의 벌이 잊을 만하면 한 번씩 '번역가의 서재'를 취재하고 싶다는 의뢰가 들어온다. 그럴 때마다 나는 "죄송합니다. 서재가 없어서요" 하고 거절하지만, 정말 없어서 거절하는 거라고는 믿지 않는 눈치다. 믿지 못해도 어쩔 수 없다. 참고로 내 작업 공간은 이렇다. 책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주방, 오른쪽에는 거실. 앞에는 텔레비전, 옆에는 소파, 발밑에는 멍멍이. 주부미가 철철 넘쳐 난다. 《귀찮지만 행복해 볼까》, 권남희 제목이 너무 요새 트렌드라 자꾸 미루고만 있던 이 책을 드디어 읽고 말았다. '권남희'. 이 이름 세 글자가 자꾸 나를 유혹했으므로 읽지 않고서는 못 배겼던 거다. 생각보다 발랄한 소재들에 300권이 넘게 번역한 노장 번역가답지 않은 젊은 문체. 역시 괜히 사랑받는 번역가가 아니구나 싶었다. .. 2021. 9. 29.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